Category🎙️토론과발표 (110)

🎙️토론과발표/함께읽기

서평쓰기 총평

문학 수업 참여자들이 작성하여 제출한 정성스런 서평들을 잘 읽었습니다. 개별적인 피드백을 하기에 앞서, 전반적인 의견을 게시하니 읽어 보고, 소설을 더 잘 읽는 안목을 갖추면서 더 좋은 글을 쓸 수 있는 밑거름으로 삼기를 바랍니다. ― 권순찬과 착한 사람들(이기호) 4명이 이 소설의 서평을 제출했습니다. 소설이 전하고 싶은 메시지와 맥락을 같이하는 사회적 사건을 찾아보면 얼마든지 있을 텐데도, 자기 주변의 인물이나 직접 경험에만 머물러 있어서 서평들을 읽는 내내 참 아쉬웠습니다. 등장인물들에 대한 비판적 평가가 없는 것도 매우 아쉬운 점입니다. 한정희와 나(이기호) 3명이 이 소설의 서평을 제출했습니다. 학교폭력이라는 문제의 구조적 측면을 바라보기도 하고, ‘환대’라는 어려운 개념을 이해하려는 시도가 있..

🎙️토론과발표/비경쟁토론

2017년 '독서' 수업 지필고사 문항 개발 사례

아래 지필고사 문항은 2017년 2학기에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진행된 '독서와 문법' 과목에서 치른 것들 중 일부입니다.설명은 주석을 참고하세요. 수업에 대한 이야기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두 같은 수업에 대한 글들입니다. 인문학을 함께 읽는 '독서와 문법' 수업(독서의 실제)[각주:1] 서로 묻고 답하는 비경쟁 토론수업[각주:2] '독서와 문법(2017)' 태그의 글 목록[각주:3]       [19~21]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장 보드리야르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대표적인 철학자이다. 그는 1970년 출간한 라는 저서에서 현대사회가 새로운 현상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음을 간파한다. 보드리야르가 30대이던 1960년대, 서구 자본주의는 2차 세계대전의 폐허 속에서 전..

🎙️토론과발표/함께읽기

서평쓰기 안내3 : 학급별 제출 일정

1반 ― 6.12(수) 안내 ➔ 6.18(화) ➔ 6.19(수) ➔ 6.25(화) 활동지 제출 마감 ➔ 6.26(수) 16:40 최종 보고서 제출 마감. 2반 ― 사전 안내 ➔ 6.18(화) ➔ 6.20(목) ➔ 6.25(화) 활동지 제출 마감 ➔ 6.27(목) 16:40 최종 보고서 제출 마감. 3반 ― 사전 안내 ➔ 6.13(목) ➔ 6.19(수) ➔ 6.21(금) 활동지 제출 마감 ➔ 6.26(수) 16:40 최종 보고서 제출 마감. 4반 ― 사전 안내 ➔ 6.18(화) ➔ 6.20(목) ➔ 6.25(화) 활동지 제출 마감 ➔ 6.27(목) 16:40 최종 보고서 제출 마감. 5반 ― 6.10(월) 안내 ➔ 6.12(수) ➔ 6.17(월) ➔ 6.19(수) 활동지 제출 마감 ➔ 6.24(월) 16:..

🎙️토론과발표/함께읽기

서평쓰기 안내2 : 대상 작품

보고서 쓰기 대상 작품으로 아래 단편소설들을 제시합니다. 이 중 한 편을 골라 작성하면 되고, 다른 친구들과 함께 해도 좋습니다. 황정은, 『파씨의 입문』 수록작 「묘씨생」 ― 나쁘고 나쁜 일들만 겪는 고양이의 이야기. 황정은, 『파씨의 입문』 수록작 「양산 펴기」 ― 일일 바자회에서 양산을 파는 알바생의 하루를 담아낸 이야기. 바자회장 옆에선 생존권 쟁취를 위한 시민들의 시위가 진행되고 있다. 생존을 위한 각기 다른 분투가 진행되고 있는 셈. 서민들, 사회적 약자들의 삶을 생각할 수 있음. 황정은, 『파씨의 입문』 수록작 「디디의 우산」 ― 부조리한 세상 속, 가난하고 젊은 두 남녀의 이야기. 『제12회 김유정문학상 수상작품집』 수상작 「작별」(한강) ― 어느 날 눈사람이 된 여자의 이야기. 인간과 인..

🎙️토론과발표/함께읽기

서평쓰기 안내1

(일러두기) 본 수행평가를 계획하고 평가하는 데에 송승훈 선생님의 도움을 절대적으로 많이 받았습니다. 이 글과 첨부 문서도 작성자는 송승훈 선생님이며, 제가 아주 조금만 고쳤습니다. 먼저 소설 한 편을 읽습니다. 그 다음에는 3단계로 준비를 합니다. 1단계: 이야깃거리 만들기 2단계: 구성하기 3단계: 고쳐쓰기 유의사항 문단이 끝날 때 엔터키를 한번만 칩니다. 문장이 끝날 때마다 엔터를 치면 글이 흐트러집니다. 문단이 새로 시작할 때는 한 글자 들여쓰기를 하자. 이 한 글자 들여쓰기는 스페이스바를 누르기보다 컴퓨터 문서작성기 프로그램에서 으로 가서 ‘들여쓰기’ 기능을 이용합니다. 그래야 나중에 글 고칠 때 편집이 깨지지 않아서 편합니다. 소제목을 네 개쯤 쓰면 좋습니다. 소제목들끼리 자연스레 이어지도록 ..

🎙️토론과발표/인문학과토론

책먹는부엉이S[소설분과]의 '아몬드' 독서토론

독서토론부 소설 분과에서는 손원평 작가의 '아몬드'를 읽었습니다.재작년에 '독서와 토론회'에서 다룬 책이기도 합니다.참여한 학생들은 질문을 생성하고 이에 대해 서로 묻고 답하는 방식으로 대화에 임해 주었습니다. 공감 능력 자체를 선천적으로 타고 나지 못한 아이가 주인공인데요,이런 사람을 우리는 환자라고 부르지요.그럼 다시, 질문을 새로 해 볼까요?윤재가 환자인 이유는 편도체가 고장났기 때문인가요?아니면, 공감 능력이 없기 때문인가요? 후자라면, 나는요? 우리는요? 우리 사회의 수많은 어른들은요? 타인의 아픔에 대해 함부로 말하는 국회의원들은요?아무렇지도 않게 학교폭력을 행하는 가해자들은요? 이런 생각들을 하면, 새삼 무겁게 다가오는 소설입니다.환자들은 치료를 받아야 하는데 말이죠... 이 소설에 대한 많..

🎙️토론과발표/리터러리라디오

리터러리 라디오(3/28, 2-3)

(전국국어교사모임 엮음, 나라말)를 읽으며 이야기하는 중이지요?지금까지 읽고 이야기 나눈 작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ㄱㅅㅎ 낭독 ― 추억에서(박재삼, 142쪽)ㅈㅅㅎ 낭독 ― 밥보다 더 큰 슬픔(이수익, 110쪽)ㅈㅅㄱ 낭독 ― 자화상(한하운, 118쪽)ㅊㅎㅇ 낭독 ― 메롱메롱(오탁번, 144쪽)ㅇㅊㄹ 낭독 ― 동해 바다 - 후포에서(신경림, 166쪽) 위 작품에 대한 감상 또는새롭게 알게 된 사실을 남겨 주세요.

🎙️토론과발표/리터러리라디오

리터러리 라디오(3/28, 2-4)

(전국국어교사모임 엮음, 나라말)를 읽으며 이야기하는 중이지요?지금까지 읽고 이야기 나눈 작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ㅈㅊㅇ 낭독 ― 간격(안도현, 152쪽)ㅂㅊㅅ 낭독 ― 발각(이혜원, 66쪽)ㅈㅂㅈ 낭독 ― 아버지의 등을 밀며(손택수, 34쪽)ㅅㅈㄱ 낭독 ― 밥보다 더 큰 슬픔(이수익, 110쪽) 위 작품에 대한 감상 또는새롭게 알게 된 사실을 남겨 주세요.

🎙️토론과발표/리터러리라디오

리터러리 라디오(3/28, 2-2)

(전국국어교사모임 엮음, 나라말)를 읽으며 이야기하는 중이지요?지금까지 읽고 이야기 나눈 작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ㅈㅇㄹ 낭독 ― 푸른 밤(나희덕, 68쪽)ㄱㄷㅎ 낭독 ― 선운사에서(최영미, 91쪽)ㅈㅇㅈ 낭독 ― 발견 8(황선하, 153쪽)ㅂㅈㅇ 낭독 ― 서시(윤동주, 174쪽)ㅈㅅㅎ 낭독 ― 한 그리움이 다른 그리움에게(정희성, 71쪽)ㄱㅁㅇ 낭독 ― 늙어가는 아내에게(황지우, 44쪽) 위 작품에 대한 감상 또는새롭게 알게 된 사실을 남겨 주세요.

🎙️토론과발표/리터러리라디오

리터러리 라디오(3/28, 2-6)

(전국국어교사모임 엮음, 나라말)를 읽으며 이야기하는 중이지요? 지금까지 읽고 이야기 나눈 작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ㄱㅁㅈ 낭독 ― 민지의 꽃(정희성, 156쪽) ㅈㅎㅂ 낭독 ― 반성 100(김영승, 22쪽) ㄱㅇㅈ 낭독 ― 정(정세훈, 112쪽) ㄱㅅㅇ 낭독 ― 서시(윤동주, 174쪽) ㄱㅈㅇ 낭독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백석, 76쪽) ㄱㄱㅁ 낭독 ― 밭 한 뙈기(권정생, 158쪽) ㅊㅇㅅ 낭독 ― 빈집(기형도, 94쪽) ㄱㅈㅎ 낭독 ― 간격(안도현, 152쪽) ㄱㅈㅁ 낭독 ― 발견 8(황선하, 153쪽) ㄱㄷㅎ 낭독 ― 사랑(김용택, 52쪽) 위 작품에 대한 감상 또는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을 남겨 주세요.

🎙️토론과발표/리터러리라디오

리터러리 라디오(3/27, 2-7)

(전국국어교사모임 엮음, 나라말)를 읽으며 이야기하는 중이지요?지금까지 읽고 이야기 나눈 작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ㅎㅇㅂ 낭독 ― 엄마 걱정(기형도, 141쪽)ㅂㅈㅎ 낭독 ― 추억에서(박재삼, 142쪽)ㅅㅈㅇ 낭독 ― 발각(이혜원, 66쪽)ㄱㅎㄹ 낭독 ― 민지의 꽃(정희성, 156쪽)ㅈㅅㅇ 낭독 ― 초혼(김소월, 82쪽) 위 작품에 대한 감상 또는새롭게 알게 된 사실을 남겨 주세요.

🎙️토론과발표/리터러리라디오

리터러리 라디오(3/27, 2-5)

(전국국어교사모임 엮음, 나라말)를 읽으며 이야기하는 중이지요?지금까지 읽고 이야기 나눈 작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ㅇㅇㅇ 낭독 ― 그 사람을 가졌는가(함석헌, 172쪽)ㅇㅈㅎ 낭독 ― 밥보다 더 큰 슬픔(이수익, 110쪽)ㅈㅎㄴ 낭독 ― 민지의 꽃(정희성, 156쪽)ㅇㄴㄱ 낭독 ― 천장호에서(나희덕, 96쪽)ㅇㅈㅇ 낭독 ― 자화상(한하운, 118쪽)ㅇㅅㅎ 낭독 ― 느티나무로부터(복효근, 114쪽)ㅊㅅㅂ 낭독 ― 발각(이혜원, 66쪽)ㄱㄴㄱ 낭독 ― 선천성 그리움(함민복, 74쪽) 위 작품에 대한 감상 또는새롭게 알게 된 사실을 남겨 주세요.

Theme by Anders Noren.

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