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runch.co.kr/@googeo/45
2017학년도 겨울방학 영일고등학교 교과세미나
2018년 생애주기별연수(성장기) @경북교육청연수원
2018년 1급정교사자격연수(국어과) @경북교육청연수원
― 위 세 번의 강의에서 주로 다룬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러한 고민이 필요하고, 의미 있다고 보는 큰 이유 2가지는 2015 개정 교육과정과, 학생부종합전형이 대세인 입시환경과 관련해서입니다. 숫자로 쓰인 성적도 중요하지만 교사가 글로 쓴 성적도 중요하고, ‘과정’과 ‘경험’이 있고 학생들이 ‘발견’하고 ‘해석’하는 수업에 대한 지향점이 우리 수업의 당면 과제입니다. 이런 방향이라면, 교사의 역할은 ‘발견자’이어야 하겠지요. ― 본문 중에서.
―――
(2019. 2. 24. 내용 추가)
글을 발행한 후에 조금 더 범교과적이면서, 다른 분들도 쉽게 이해하시고 응용해볼 수 있도록 슬라이드 구성을 새롭게 할 기회가 있어 작업한 결과물을 추가로 올려둡니다.
아래의 '더보기' 버튼을 눌러 보세요. 이미지가 많아 로딩되는 데 시간이 조금 걸릴 수 있음을 고려해 주세요.
―――
관련하여 예전에 썼던 글,
'수업 > 비경쟁토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년 '독서' 수업 지필고사 문항 개발 사례 (0) | 2019.07.26 |
---|---|
독서의 실제. 수업활동 집계용 자료 제출 (0) | 2017.12.07 |
독서의 실제 #15. 제레미 리프킨 (0) | 2017.12.05 |
독서의 실제 #14. 조지 레이코프 (0) | 2017.12.05 |
독서의 실제 #13. 리처드 도킨스 (0) | 2017.11.14 |
독서의 실제 #12. 찰스 다윈 (0) | 2017.11.14 |
독서의 실제 #11. 제임스 글리크 (0) | 2017.11.07 |
독서의 실제 #10. 토머스 쿤 (0) | 2017.11.02 |